HTML Tags (Element)1
아래 내용은 학원 수업 및 온라인 강좌 등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HTML
HTML은 웹 사이트, 혹은 웹 애플리케이션 문서의 구조를 담당하고 있다.
이 구조는 자유롭게 작성이 가능하지만, 많은 사람들이 Tag의 의미와 사용법을 무시한 채 디자인만 생각하고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. 물론 Tag의 의미와 사용법을 무시하더라도, 디자인을 구현하는 데에는 영향이 없는 경우도 있다. 때문에 이 부분을 더 소홀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. 하지만 시맨틱 한 웹 환경과 웹 접근성까지 고려한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. (엘리먼트들을 전부 외워둘 필요는 없지만, 어떤 엘리먼트들이 있는지 정도는 한 번쯤 체크해 두어야 나중에 찾아볼 수 있을 것이므로 확인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.)
HTML 엘리먼트의 분류
엘리먼트는 아래의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다. 또한 하나의 엘리먼트가 여러 개의 카테고리에 중복으로 속할 수도 있다.
구분 | 설명 |
metadata (메타데이터) |
엘리먼트가 감싸고 있는 데이터의 성격을 정의하거나 문서를 설명함 |
flow content (플로우 컨텐츠) |
body 엘리먼트 하위에서 사용되는 엘리먼트들이나 응용프로그램(애플리케이션)에서 사용되는 엘리먼트들의 대부분을 말함. flow content는 문자나 컨텐츠를 자식으로 가져야 하고, 여기서 말하는 컨텐츠는 img 엘리먼트와 같이 외부의 자원을 문서에 삽입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들을 의미한다.( audio , canvas , embed , iframe 등) |
section content (섹션 컨텐츠) |
기능이나 의미에 따라서 구간을 구분짓는 엘리먼트. ex : nav 엘리먼트는 문서 안에서 네비게이션에서 사용되는 엘리먼트들을 감싸서 네비게이션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. |
heading content (헤딩 컨텐츠) |
제목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엘리먼트 (h1 ~ h6 , hgroup ) |
phrasing content (구문 컨텐츠) |
문자나 구문을 표시하는 엘리먼트. 구문 컨텐츠가 모여서 문단 (paragraphs)를 만든다. |
embedded content (포함된 컨텐츠) |
다른 자원을 문서에 삽입하는 엘리먼트를 의미한다. |
interactive content (대화형 컨텐츠) |
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엘리먼트 (a , input , button 과 같은 엘리먼트들이 있다.) |
head element
head element 내부에서 사용하는 element들은 문서를 작성하는 필요한 외부 문서를 불러오는 데 사용하거나, 문서의 정보를 브라우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기능을 담당한다.
Element | 설명 |
title | 문서마다 유일한 내용 (tip : 페이지와 웹사이트 정보를 함께 표기하는 것이 좋다.) |
link | head element 내부에만 위치할 수 있으며, 스타일시트, 파비콘 등 외부 문서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.
|
base | 상대경로 작성 시 기준 URL 각 문서에 한번 작성하며 일부에서만 사용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. |
meta 태그
charset
: 문자의 인코딩 방식을 선언한다.<meta charset="UTF-8">
name과 content
name
과 content
특성을 함께 사용해서 문서의 메타 데이터를 제공한다.
keyword
: 웹페이지의 홍보수단으로 검색 키워드를 지정 가능하며, ", "로 구분하여 선언한다.<meta name="keyword" content="HTML, tag, element, Frontend">
subject
: 문서의 제목정보<meta name="subject" content="HTML tag">
description
: 웹페이지 요약정보, 제작자 정보(author), 저작권정보(copyright)<meta name="description" content="HTML tag 정리">
author
: 문서의 저작자<meta name="author" content="Kim Kyuree">
viewport
: 반응형 설정을 위한 정보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, maximum-scale=3">
width
: 가로크기height
: 세로크기initial-scale
: 초기렌더링 비율user-scalable
: 축소, 확대 기능maximum-scale
: 최대 확대 비율minimum-scale**
: 최소 축소비율
참고자료
'DEV-LOG > 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선택자와 상속 (0) | 2023.06.08 |
---|---|
CSS 문법과 선언방식, 단위 (0) | 2023.06.08 |
HTML Tags (Element)2 (0) | 2023.06.08 |
HTML Summary (0) | 2023.06.07 |
Web Development 개요 (0) | 2023.06.07 |